본문 바로가기
사회

23년 장마시작 시기와 예상 기간

by 이런저런 세상살이 2023. 6. 20.
반응형

올해 장마

23년 올 한해도 어느새 6월달도 끝이보이면서 올해의 반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제 어느덧 더위도 불쑥 찾아오기도 하고, 올해는 비도 많이 오고 기간도 길다고 해서

올해 2023년 장마기간과 예상 강수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상청에서는 2023년 장마시기를 6월21일 제주도 부터 시작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작년보다 3일 늦게 시작하고 장마기간은 비슷하거나 조금 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올해는 장마기간동안에는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 많은 비가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마란 무엇인가?

주로 한반도에서 여름철에 여러날 비가 내려서 날씨가 지속되는 기상현상의 일종이다

​그 원인인 정체전선(장마전선),우기를 가리키거나 또는 그시기의 비 자체를 이르는 말이라고도 한다.

 

제5의 계절이라고 부르는 장마는 한반도의 경우 전체 강수량의 3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장마기간은 평균적으로 30~35일 이지만 이기간동안 항상 비가 내리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비가 내리는 날은 15~20일 정도로 이중에서도 정체전선에 의해 내리는 경우는 12~16일 정도에 불과하다.

 

2020년은 장마가 8월 중순까지 이어지면서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했고 2021년은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매우 짧은 기간에 끝나 버렸다.

 

2023년 예상 장마기간


장마철 대비 준비사항

● 가정에서는 우리집과 주변에 비가 새거나 무너져 내릴 곳이 없는지 사전에 점검보수하고,  낡은 지붕은 비닐 등으로 단단히 덮고 묶어서 폭풍우에 날아가지 않도록 한다.

 

집 안팎의 하수구는 물론 배수구의 막힌 곳을 정비하고, 오래된 축대, 담장은 넘어질 우려가 없는지 미리 정비하고 위험한 곳은 표지판을 설치한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양수기, 손전등, 비상식량, 식수, 비닐봉지 등을 준비한다.

 

상습 침수지역에서는 우리집이 수해상습지구, 고립지구, 하천범람 우려지구 등 어떤 지구에 속하는지 미리 알아 둔다.

대피로, 지정된 학교등 대피장소, 헬기장을 반드시 알아 두시고 전화, 확성기등 통신수단을 확보하여 둔다.

가까운 행정기관의 전화번호는 온가족이 알 수 있는 곳에 비치하고 이웃간의 연락방법을 강구하여 둔다.

 

 

농촌이나 산간지역에서는 배수로를 정비하고 가건물, 비닐하우스 등은 버팀대를 보강하거나 단단히 묶도록 한다.

집 안팎의 하수구는 물론 배수구의 막힌 곳을 정비하고, 오래된 축대,담장은 넘어질 우려가 없는지 미리 정비하고 위험한 곳은 표지판을 설치한다.

 


어촌 및 해안지역에서는 수산증양식 시설물을 점검하여 균열, 파손부분은 사전보수하고 어선의 통신장비 항해장비, 구명장비등의 기능을 점검하여 유사시 즉각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등산,해수욕장,낚시터 등 야영장에서는 라디오를 휴대하여 기상청취를 습관화하고 기상악화시 스스로 판단하는 자만심을 버리고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등산, 해수욕장, 낚시터 등 야영장에서는 라디오를 휴대하여 기상청취를 습관화하고 기상악화시 스스로 판단하는 자만심을 버리고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공사장에서는 라디오를 휴대하여 기상청취를 습관화하고 기상악화시 스스로 판단하는 자만심을 버리고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반응형